아이들이 TV, 컴퓨터, 스마트기기 등에 노출되는 시기가 빨라지고 그 빈도가 높아지면서 더불어 아이들의 시력에도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안경을 착용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으며 초등학생만 돼도 반의 절반 가량이 안경을 착용한다. 아이들은 본인들의 시력이 좋은지 나쁜지 판단하는 기준이 약하므로 부모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경 착용 시기를 놓치기 일수이다.
|
|
 |
또 아이의 시력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도 안경을 일찍 쓰면 오히려 눈이 더 나빠진다든지 하는 속설에 선뜻 안경 착용을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과연 아이의 시력이 더 나빠지지 않게 하고 성장에도 도움이 되는 적절한 안경착용 시기는 언제쯤이 좋은 것일까?
|
|
안경 맞추기 전 안과를 찾아라!
개인차가 있지만 절대적으로 안과 전문의의 판단이 중요하다. 아이가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는 버릇이 있다거나 책을 볼 때나 사물을 볼 때 미간을 찌푸리는 버릇이 있다면 반드시 안과 전문의를 찾아 정밀한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눈이 나쁘다고 생각되어 바로 안경점에 찾아가지 않도록 한다. 안경점에서도 간단한 시력검사는 할 수 있지만 아이들의 눈이 나빠진 원인은 여러가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꼭 정확한 이유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아이가 처음 안경을 착용할 때에는 반드시 안과에서 약물검사를 통해 가성근시(일시적 근시) 여부를 확인할 필요도 있으므로 첫 안경 착용은 꼭 안과 검진 후 결정하도록 하자.
|
|
6개월에서 1년, 정기적으로 검사하라!
아이의 눈은 평균 6~7세가 되면 시력이 완성되므로 이 시기의 눈 관리가 평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약시나 사시 등의 문제도 이 시기에 교정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아이가 의사표현을 할 수 있는 3세 정도의 나이가 되면 한 번 쯤 안과를 찾아가는 것이 좋으며 이후 1년에 한 번 정도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안경을 쓰면 더 눈이 나빠진다는 우려를 많은 부모들이 한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안경을 썼기 때문이 아니라 안경을 쓴 이후의 잘못된 관리 때문에 생길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의 눈 상태는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눈상태 검사로 자신에게 맞는 도수를 처방해 주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이런 관리가 안됐을 경우 오히려 안경이나 다른 교정법들로 인해 시력이 더 나빠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게 된다.
|
|
나빠진 시력 안경 말고는 방법이 없나?
시력이 나빠지는 데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많은 경우 눈근육과 상관관계가 있다. 멀리 바라보는 근육과 가까이 바라보는 근육이 고르게 발달해야 하는데, 최근 아이들의 생활환경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시력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실내에서 주로 생활하고 가까운 곳에서 전자기기들을 들여다 보고 또 최근에는 스마트폰까지 한 몫을 하기 때문에 작은 화면에 시선을 고정한채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 곳을 오래 바라보는 습관은 안구 운동력을 떨어뜨리고 떨어진 안구 운동력으로는 눈근육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게임을 할 때도 반드시 한 번씩은 시선을 들어 먼 곳을 바라보도록 하고 자주 눈을 굴려주는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평소에도 먼 곳을 바라보는 습관을 들여 눈근육을 고르게 발달시켜 주는 것이 시력교정에 도움이 된다.
|
|
 |
처음 쓰는 안경, 어떤 것이 좋을까?
안과의 처방전을 가지고 안경을 맞추러 가자. 안경은 디자인도 천차만별 소재도 천차만별 가격도 천차만별, 그야말로 어떤 것을 골라야 할지 혼란스럽다. 무작정 안경점에서 권해주는 것을 할 것인지, 비싸면 좋은 것인지, 아이가 쓸 거니까 오로지 저렴하면 되는 것인지에 대한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한다. 안경테의 중앙부분이 코 뼈 위쪽에 가볍게 걸리도록 쓰는 것이 올바른 착용법이다. 안경테 아래 부분이 볼에 닿는다던가 코 안쪽이 눌리는 경우는 얼굴의 변형을 가져올 수 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어린 아이가 쓰는 것이므로 일단 가볍고 탄성이 있는 안경테가 좋다. 처음 안경을 쓰게 되면 아무래도 이물감을 느끼게 되므로 너무 무겁거나 단단한 테는 아이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안경을 벗으면 생기는 눌린 자국은 대부분 안경의 코받이 부분이 잘 맞지 않는 경우 생기는데, 최근에는 푹신푹신한 소재의 에어로 코받이로 무게감을 완화시킨 제품들도 많이 나와 있으니 고려해보자.
안경테의 가격은 디자인 보다 소재로 결정 되는 경우가 많은데 메탈 중에서는 티타늄-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등의 안경이 높은 가격대 이다. 가장 많이 쓰는 뿔테는 사실상 플라스틱으로 ‘로이드’라고 불리는 소재. 이 로이드는 3년 정도 그늘에 숙성시켜야 하는데 이 숙성 기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거나 순수 셀룰로이드의 합성 비율이 낮을 수록 가격이 떨어진다. 길거리에서 파는 뿔테는 거의 PE 소재로 가장 저렴하지만 기능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처음 쓰는 아이 안경은 아이가 다루기 편한지, 얼굴에 자국이 남지는 않는지, 얼굴형에 어울리는지, 가격은 적당한지 등 다양한 면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
|
|
|
|
|
|
|